MMPI-2 RC, PSY-5 척도에 대해서
재구성 임상척도
▶개발배경
- 임상척도의 제한점 해결을 위해 2003년 Tellegen 등에 의해 개발
▶임상척도의 2가지 제한점
- 타당성이 의심스러운 문항들 : 척도 상승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힘듦
- 임상척도간의 상관이 높음 : 척도의 차별적 해석이 어려움
▶제한점 극복을 위한 기존의 시도들
- 코드타입의 해석
- 임상소척도의 개발
- 보충척도의 개발
척도명 | 내용 | ||
RCd | dem | Demoraliztion | 정서적 혼란과 관련된 문항 |
RC1 | som | Somatic Complaints | 신체적 불편감 |
RC2 | lpe | Low Positive Emotions | 낮은 긍정적 정서 |
RC3 | cyn | Cynicism | 냉소성 |
RC4 | asb | Antisocial Behavior | 반사회적 행동 |
RC6 | per | Ideas Of Persecution | 피해의식 |
RC7 | dne |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| 역기능적 부정적 정서 |
RC8 | abx | Aberrant Experiences | 기태적 경험 |
RC9 | hpm | Hypomanic Activation | 경조증적 상태 |
재구성 임상척도의 특징 및 해석지침
▶재구성 임상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징
- 최소한 대응되는 임상척도만큼의 신뢰도
- RCd와의 상관이 임상척도보다 낮음
- Rc 척도들끼리의 상관이 낮음
- 수렴타당도는 임상척도보다 높거나 같음
- 변별타당도는 임상척도보다 현저히 높음
▶해석상 지침
- 임상척도 해석의 명료화에 사용가능
- MMPI-RF에서 주요 척도로 기능
재구성 임상척도(RC)의 활용
▶임상척도 – RC척도 조합에서 나타날 수 있는 4가지 유형
유형1 : 임상척도 상승 – RC척도 상승
유형2 : 임상척도 상승 – RC척도 비상승
유형3 : 임상척도 비상승 – RC척도 상승
유형4 : 임상척도 비상승 – RC척도 비상승
- 가장 빈번한 조합은 유형1, 유형4
- 유형4의 경우 해석 할 필요가 없음
▶ 유형 1의 해석 : 임상척도 상승 – RC척도 상승
- 임상척도의 핵심적 구성개념에 대한 추론 가능 (증상)
- 임상척도의 상승에 근거하여, 추가적 추론 가능 (성격특징)
예) 임상척도 7 및 RC7 동반상승
➜ RC7의 상승에 근거하여,
역기능적 부정 정서라는 척도 7의 핵심적 구성개념과 연관된
특성을 확실하게 추론
➜ 임상척도 7의 상승에 근거하여,
추가적인 추론을 할 수 있음
▶유형 2의 해석 : 임상척도 상승 – RC척도 비상승
- 임상척도의 핵심적 구성개념에 대한 추론을 매우 조심스럽게 해야함
- 임상척도의 높은 점수는 전반적인 의기소침 때문에 얻어진 결과일 수 있으므로 RCd 점수가 상승했을 가능성 큼
▶유형 3의 해석 : 임상척도 비상승 – RC척도 상승
- 임상척도 핵심적 구성개념에 대한 추론을 하는 것이 적절함 (증상)
- 임상척도가 상승하지 않은 이유는 전반적인 의기소침 경향이 낮기 때문일 가능성이 큼 RCd 점수가 상승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큼
성격병리 5요인 척도 (PSY-5)
▶주요 성격특성의 전체적 윤곽을 제공
▶심리장애를 범주적으로 분류하는 체계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
▶성격장애를 정상 성격기능의 연장선상에서 개념화할 필요성 제기
▶차원적으로 접근할 필요성 제기
▶PSY-5는 정상적인 기능 및 임상적인 문제 모두와 관련되는 성격특질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된 척도
척도명 | 내용 | ||
AGGR | Aggressivenes | 공격성 | 공세적이고 도구적인 공격성에 초점 |
PSYC | Psychoticism | 정신증 | 현실과의 단절 평가 |
DISC | Disconstraint | 통제 결여 | 위험추구, 충동적,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성향 평가 |
NEGE | Negative Emotionality / Neuroticism | 부정적 정서성 / 신경증 |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성격 경향 |
INTR | Introversion / Low Positive Emotionality | 내향성/ 낮은 긍정적 정서성 | 기쁨을 느끼고 즐거운 어울림을 경험하는 성향 |
MMPI-2 검사와 척도에 대해서 기억해야 할 사실 [기초편]
MMPI-2 상승척도쌍, 코드타입, 3개 척도에 대해서